신청기간
2019-04-11 ~ 2019-05-10
사업개요
3D프린팅의 성공사례 발굴을 통한 민간수요를 유발하기 위하여 3D프린팅기술로 부가가치 창출과 수요처 도입 가능성이 높은 공공, 제조, 자유분야의 제품 시범제작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3D프린팅 기업이 주관기관으로 참여
☞ 공공분야(1개 과제, 155백만원), 제조분야(1개 과제, 150백만원), 자유분야(2개 과제, 각 50백만원) 지원
지원분야 및 대상
ㅇ 지원대상 - 공공분야 ㆍ 추진체계 : 주관기관(3D프린팅 기업)+참여기관(수요처) 컨소시엄

- 제조분야 ㆍ 추진체계 : 주관기관(3D프린팅 기업)+참여기관(수요처) 컨소시엄

- 자유분야 ㆍ 추진체계 : 주관기관(3D프린팅 기업)+참여기관(수요처) 컨소시엄

지원조건 및 내용
ㅇ 지원분야 : 공공(철도), 제조, 자유분야 4개 과제 - 공공분야 : 차단기, 어댑터, 커넥터, 스위치 등 단종ㆍ조달애로 철도부품(금속류) 시범제작(1개 과제, 155백만원) - 제조분야 : 자동차, 항공, 조선 등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은 제조분야 설비ㆍ부품 등 시범제작(1개 과제, 150백만원) - 자유분야 : B2C형 제품 또는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각종 설비ㆍ부품ㆍ도구 등 시범제작(2개 과제, 각 50백만원) ※ 분야별 3D프린팅 시범제작 지원 필요성 및 기대효과

ㅇ 사업내용 - 공정설계 : 경량화, 일체화 및 복잡형상 구조변경 등 3D프린팅 기술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최종 산출물의 품질․경제성․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출력방법, 소재 등을 공정설계 - 제작 : 수요처의 요구기준을 만족하도록 최종 제품 제작 - 시험검증 : 수요처가 제시한 품질기준에 대해 공인시험기관 시험 - 현장적용 : 최종 결과물을 수요처가 주관하여 시험․사용․운영하여 3D프린팅 기술도입 효과 또는 사업화 추진 시 문제점(개선점) 등 파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