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년에도 29.8조원에 이르는 다양한 정부 정책과제(R&D 무상지원자금 등)를 통해 많은 기업들이 혜택을 누리고 있습니다.
신청기간
2022-02-17 ~ 2022-03-08
사업개요
미래 신시장ㆍ신산업 창출 및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해 글로벌 수준 나노ㆍ소재 원천기술 확보 및 관련 연구기반 확충 기술개발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☞ '국가연구개발혁신법' 제2조 제3호에 따른 기관 및 단체
☞ 기술개발 및 기반구축 성격의 과제 지원
지원분야 및 대상
ㅇ 연구개발기관의 자격
- 「국가연구개발혁신법」 제2조 제3호에 따른 기관 및 단체 - 단 기업의 경우, 「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」제14조의2 제1항에 따라 인정받은 기업부설 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기관 및 단체 - 「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」 제14조 제1항에서 정하는 기관 및 단체 - 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」 제15조 제2항
ㅇ 연구책임자의 자격 - 「국가연구개발혁신법」 제2조 제3항에서 정하는 기관 및 단체에 소속된 연구자 - 「국가연구개발혁신법」 제6조 및 제7조의 요건을 갖춘 자 - 단 기업의 경우, 「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」제14조의2 제1항에 따라 인정받은 기업부설 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기관 및 단체에 소속된 연구자 ※ 연구과제 수행 기간 중 (정년)퇴직, 이직 등이 예상되어 연구책임자의 자격요건이 상실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, 과제 신청 전 반드시 사전 문의
지원조건 및 내용
ㅇ 사업내용 ※ 지원규모 및 연구기간 등은 예산사정 및 평가결과 등에 따라 변경 가능 - (전략형) 차세대 주력산업 및 기술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고 미래 소부장을 선점할 수 있는 국가전략기술 확보 지원 ㆍ 지원기간 및 규모 : 5년(3+2) 내외, 과제당 연 10억원 내외(전략형Ⅰ) / 6년(4+2) 내외, 과제당 연 30억원 내외(전략형Ⅱ) ※ 사업특성(전략형Ⅰ만 해당) - (선도형) 기술수준은 높지만 산업적으로 미성숙한 기술로 연구자들이 명확한 타겟 중심으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연구 지원 ㆍ 지원기간 및 규모 : 5년(3+2) 내외, 과제당 연 10억원 내외 - (경쟁형) 기술수준은 낮지만 배후산업의 산업경쟁력이 높은 기술로 창의성 경쟁을 통해 단시간 내 기술수준 제고를 위한 기술개발 지원 * 연구주제별 2개 과제 내외 선정 후 경쟁형 단계평가를 통해 2단계 진입 과제 결정(연구주제별 1개 과제 2단계 진입) ㆍ 지원기간 및 규모 : 5년(2+3) 내외 : 2년(2배수) 내외 → 3년(단독),과제당 5억원(2배수) → 10억원 내외(단독)
ㅇ 지원규모 및 기간
※ 과제제안요구서(RFP) 상세내용은 [붙임]사업유형별 안내문 참조
- 전략형Ⅰ
- 전략형Ⅱ
- 선도형
- 경쟁형
신청방법
ㅇ 신청 방법 : 온라인 접수
- 한국연구재단 연구사업통합지원시스템(emd.nrf.re.kr)
#RND#연구개발#무상자금#정부지원금#정책자금#중소기업#중소기업정책자금#중기부#과기부#산자부#중소기업지원금#소상공인대출#벤처기업#경영컨설턴트#소상공인정책자금